분류 전체보기224 NVIDIA 그래픽카드 드라이버 종류와 차이점 WHQL GRD SD (Game Ready Driver, Studio Driver) NVIDIA 그래픽카드의 드라이버를 설치할때 드라이버의 종류를 알아보고 그 차이점을 간단히 정리해봅니다. 흔히들 알고있는 WHQL (Windows Hardware Quality Labs), GRD (Game Ready Driver), SD (Studio Driver)로 분류했는데 사실 하나가 더 있습니다. 또 하나의 드라이버가 CRD (Creator Ready Driver)입니다. WHQL (Windows Hardware Quality Labs) 마이크로소프트에 의해 윈도우 사용에 적합하다는 인증을 받았다는 의미입니다. 이게 왜 필요하냐면 NVIDIA 그래픽카드의 드라이버는 정식버전 외에도 제3자가 성능이나 호환성등의 특정목적으로 튜닝한 드라이버들이 존재합니다. 이런 드라이버의 사용은 전적으로 사용자가 .. 2021. 3. 4. 화분으로 현관 야간조명 만들기 베란다에 있는 화분을 보다가 이걸로 조명을 만들면 이쁘고 재미있겠다 싶었습니다. 아이디어라기보단 어디선가 본적이 있는 나무 형태의 조명이 머리속에 떠오른거죠. 베란다에서 화분 하나를 거실로 옮기고 온라인 쇼핑몰에서 DIY할 적당한 LED 전구와 스윗치를 구매했습니다. 조명은 검색하다 알게되었는데 '피켓전구'라 부르더군요. 크리스마스 장식할때 쓰는 길다란 줄 형태의 조명입니다. 피켓전구 6셋트와 스위치를 다해서 2만원은 넘지 않습니다. 해보고 이쁘면 여러개 만들생각으로 피캣전구를 여러개 구매했는데 그냥 한두개와 스위치를 구입하면 1만원을 넘지 않습니다. 피켓전구의 전원공급은 USB 형태와 건전지 형태가 있는데 밤새 켜놓을려면 건전지로 힘들겠죠. 그냥 남는 스마트폰 충전기에 꽂을 요량으로 USB 형태를 선택.. 2021. 2. 22. 돼지표 본드 D-5250, D-5251 차이점 음, 지금 지금 미국의 퍼서비어런스가 화성에 착륙하는게 생중계중입니다. 그래서 기다리는중인데 아직은 감속중이고 중계는 계속 인터뷰증이라 기다리는동안 오늘 알아본 본드에 대해 간단하게 쓰려합니다. 가죽이 떨어진곳이 있어 가죽본드를 사러갔는데 안팔더군요. 그래서 돼지표 본드를 몇개 사왔는데 D-5251입니다. 본드의 설명은 작은 글씨로 되어 있는데 용도란에 가죽이 안보이니 살짝 불안합니다. 안좋은 머린데 문든 지난번 본드는 D-5250이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무슨 차이가 있을지 궁금해서 찾아봤습니다. 일전에 자전거 튜브가 펑크났을때 번개표 본드를 주로 사용하는데 더 흔하게 구할수 있는 돼지표 본드는 어떨까해서 직접 실험해본적이 있습니다. D-5250 본드였고 결론은 돼지표 본드는 사용하기 어렵다는것입니다.. 2021. 2. 19. 자전거 디스크 브레이크로 인한 사고와 로터 관리, 레진,메탈 패드 사용 경험, 아비드 HS1 일주일전 항상 다니던 내리막길에서 앞바퀴가 미끄러지면서 넘어지는 일이 생겼습니다. 뒷바퀴가 미끄러지면 어떻게든 살아나는데 앞바퀴가 미끄러지면 체감상 1초도 안되는 시간에 수직으로 땅에 고꾸라지는 느낌이라 참 방법이 없습니다. 그 특유의 느낌을 경험해보신분도 많을텐데 브레이크를 잡는순간 오히려 급가속되는 느낌을 받았거든요. 출발전에 체인에 오일을 발랐고 앞샥에는 약간의 오일을 분사했는데 자주 하는 작업이라 별로 의심하지 못했습니다. 넘어지고 나서야 신경써서 자전거의 브레이킹을 테스트 해보니 평소와 다르지 않은 느낌이긴 하지만 브레이크를 잡은 상태로 아주 강한 힘으로 밀어보니 조금은 밀리더군요. 이전엔 아무리 힘을 줘도 밀리지 않았고 항상 그런 상태로 정비했습니다. 샥에 분사한 오일이 로터쪽에 날려붙지 않도.. 2021. 2. 17. 키보드 매핑, 키 버튼의 위치나 기능 바꾸기 (볼륨 조절) SharpKeys 2 이전 글에서 키보드 매핑에 관해 이야기했습니다. 간단한 원리와 나의 시스템 어디에 어떤 작업이 되는것인지를 알아야 후에 수정이나 오작동에 대한 대처를 할수 있을것 같아 그 내용을 썼습니다. 원리와 시스템이 변형되는곳을 알았으면 이젠 작업을 더욱 쉽고 빠르게 도와주는 유틸리티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키보드 매핑, 키 버튼의 위치나 기능 바꾸기 (볼륨 조절) 1 키보드 매핑, 키 버튼의 위치나 기능 바꾸기 (볼륨 조절) 똑같은 PC지만 저마다 사용 패턴은 다릅니다. 물론 키보드의 사용패턴 또한 마찬가지구요. 저는 키보드 버튼중에 전혀 사용하지 않는 키들이 몇개 있습니다. 그래서 이 버튼들을 사운드의 볼륨 showering.tistory.com 몇가지 유틸리티를 살표봤고 그중 가장 편리하고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2021. 2. 8. 키보드 매핑, 키 버튼의 위치나 기능 바꾸기 (볼륨 조절) 1 똑같은 PC지만 저마다 사용 패턴은 다릅니다. 물론 키보드의 사용패턴 또한 마찬가지구요. 저는 키보드 버튼중에 전혀 사용하지 않는 키들이 몇개 있습니다. 그래서 이 버튼들을 사운드의 볼륨조절 버튼으로 만들고자 합나다. 게임, 인터넷 서핑이나 특정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중에 키보드 버튼의 위치나 기능을 바뀌기를 원하는 분들도 있으리라 생각해 그 방법과 간단한 원리를 설명합니다. 2가지 방법을 소개합니다. 첫번째 방법은 조금 힘들지만 자신이 변경한 시스템에 대해 알 수 있고 이것은 문제가 생겨도 대처가 가능하게 할것입니다. 두번째 방법은 그냥 빠르고 쉽게 변경할 수 있는 유틸리티를 소개합니다. 키보드 매핑, 키 버튼의 위치나 기능 바꾸기 (볼륨 조절) SharpKeys 2 키보드 매핑, 키 버튼의 위치나 기능.. 2021. 2. 6.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 38 다음